운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체적 구조와 특징을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보이지 않게 작용하는 호르몬이 근육 성장 뿐만 아니라 에너지 대사, 신진 대사 등에 관여합니다. 그래서 호르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정의
  • 내분비계를 통한 신호 전달이 혈액을 통해 표적 세포와 기관에 특정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물질을 말합니다.
  • 대사 과정의 속도를 조절하고 항상성을 유지하게 합니다.
2. 종류

1) 내분비계

  • 아미노산의 한 종류인 타이로신 유도체로 구성된 호르몬
    – 부신수질에서 분비되는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전수성 기질)
    – 갑상선 호르몬(소수성 기질)
  • 콜레스테롤에서 파생된 스테로이드 호르몬(소수성 기질)
    – 합성과 동시에 분비되어 체내에 거의 저장되지 않습니다. 그 외에 호르몬은 생성하는 분비샘에 저장되어 있다가 신호에 따라 분비됩니다.
  • 펩타이드와 단백질로 구성된 호르몬(전수성 기질)

2) 뇌하수체

뇌하수체자극호르몬은 뇌하수체 호르몬들의 생성과 분비에 관여합니다.

  • 당단백질 계열 :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결합된 복합 단백질
    – 갑상샘자극호르몬(TSH) : 갑상선 호르몬 분비 촉진
    – 난포자극호르몬(FSH) : 난소에서 세포 성숙 유도, 정자의 생성 촉진
    – 황체형성호르몬(LH) : 난소에서 배란이 일어나고 황체 형성, 고환 세포 성장(테스토스테론 생성 및 분비)
  • 성장호르몬(GH, 에너지 대사 및 근육 성장과 발달에 관여)과 프로락틴(PRL, 유선 발달에 영향) 계열
  •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계열 : 부신선의 피질(곁질) 호르몬 생산을 조절
3. 기능

1) 호르몬 분비의 조절

  • 음성 되먹임 기전(negative feedback) – 분비세포가 표적세포에 신호 전달을 받아 반응하고, 호르몬 생산 및 전달을 그만해도 되면 표적세포는 분비세포에게 신호 전달하여 서로 다른 흐로몬간의 길항작용으로 균형을 이룹니다.
  • 양성 되먹임 기전(positive feedback) – 분비세포에서 더 많은 양의 호르몬을 방출하도록 유도하여 분비 기능이 계속 증가하도록 합니다.

2) 호르몬의 특이성

  • 세포막 수용체 – 세포막을 쉽게 통과하지 못하는 물질(단백질, 펩티드 호르몬, 타이로신)을 표적세포의 세포막 수용체를 통해 세포 내부로 들어가 반응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킵니다.
  • 세포 내 수용체 –  세포막을 쉽게 통과하는 물질(콜레스테롤 유래 호르몬)이 세포 내부인 세포핵이나 세포질 내에서 반응을 유도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킵니다.

3) 표적기관

  • 뇌하수체: 각각의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부분입니다.
    – 성장호르몬 = 생장호르몬 = GH : 생장과 물질대사를 촉진
    – 프로락틴 : 의 생성과 분비를 촉진
    – 여포자극호르몬 = FSH : LH와 함께 생식세포 형성 촉진
    – 황체형성호르몬 = LH : FSH와 함께 생식세포 형성 촉진
    – 갑상샘자극호르몬 = TSH : 갑상샘을 자극하여 갑상샘 호르몬 분비 촉진
    – 부신피질자극호르몬 = ACTH : 부신 피질을 자극하여 부신 피질 호르몬 분비 촉진
    – 엔도르핀
    – 색소세포자극호르몬 = MSH : 색소세포를 자극하여 멜라닌 합성 촉진
    – 엔케팔린
  • 갑상선: 몸 전체의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호르몬을 분비하며 체온 조절과 심장과 소화기관의 성장에 또한 관여합니다.
    1) 갑상샘
    – 삼아이오딘티로닌 = T3: 티록신이 활성화된 상태. 물질대사의 과정을 자극하고 유지
    – 티록신 = T4: T3의 전구체. 활성도가 T3보다 떨어진다. 순환계를 통한 이동 시에 많이 발견
    – 칼시토닌: 혈액 내 칼슘 농도를 낮춤
    2) 부갑상샘
    – 부갑상샘호르몬 = PTH = 파라토르몬 : 혈액 내 칼슘 농도를 높임
  • 부신: 혈액 내 포도당을 조절하고 체액의 균형을 조정하는 기관입니다.
    1) 부신수질
    – (노르)에피네프린 = 아드레날린 : 노르가 붙고 안 붙고는 분자구조의 치환기 하나 차이로 인한 것으로, 기능엔 큰 차이가 없다. 글루카곤과 마찬가지로 혈당을 높이는 역할
    2) 부신피질
    – 속상대에서 분비 – 글루코코르티코이드 : 혈액 내의 포도당 농도를 높임, 면역 억제와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
    – 사구대에서 분비 – 무기질코르티코이드 = 알도스테론 : 신장에서 Na+흡수의 촉진 및 포타슘 방출 촉진
    – 망상대에서 분비 – 안드로젠 : 여성 호르몬 계열과 남성 호르몬 계열로 나뉘며 성 호르몬으로 작용
  • 췌장: 내분비선인 랑게르한스섬에서 포도당을 받아들이고 분해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 인슐린 : 혈액 내 포도당 농도를 낮춤
    – 글루카곤 : 혈액 내 포도당 농도를 높임
    – 소마토스타틴 : 성장호르몬, 인슐린,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
  • 난소와 정소: 난소에서는 여성호르몬이 분비되고, 정소에서는 남성호르몬이 분비됩니다.
  • 1) 정소
    – 테스토스테론: 정자 형성을 도움. 남성의 2차 성징을 발달 및 유지
    2) 난소
    – 에스트로젠: 자궁 내막의 생장을 촉진. 여성의 2차 성징을 발달 및 유지
    – 프로게스테론: 자궁 내막의 생장을 촉진
  • 송과선
    – 멜라토닌: 생체 주기 조절
  • 흉선
    – T림프구 생성(면역기능)
  • 심장
    – ANP(심방이뇨촉진인자) : 정맥혈류량이 증가하면 심장이 분비하는 호르몬으로, 수입소동맥을 이완시키고 신장의 과립세포를 억제하여 혈압을 감소

  • – 안지오텐시노젠 : 레닌과 ACE를 통해 안지오텐신으로 활성화되어 혈압을 증가

  • – 가스트린 : 위벽이 자극될 때 위의 G세포가 분비하는 호르몬으로, 위액 분비를 촉진
    소마토스타틴 : 위의 D세포가 분비하는 호르몬으로, 위를 억제한다. 여담으로 이자에서도 분비하는 호르몬. 그땐 이자를 억제
    그렐린 : 뇌에 작용해 식욕을 상승시키는 호르몬
  • 소장(십이지장)
    – 세크레틴 : S세포가 위액의 HCl(염산)에 자극 받을 시 분비합니다. 이자의 NaHCO3 분비를 촉진하여 위액을 중화시키고, 간의 쓸개즙 생성을 촉진시킵니다. 과식을 하면 S세포가 과하게 자극되어 세크레틴이 과하게 분비되는데, 이 경우 위로 가서 위를 억제시킵니다. 너무 많은 음식물이 넘어오면 십이지장이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걸 방지하는 기작입니다.
    – CCK (콜레시스토키닌) : I세포가 음식물 등에 자극 받을 시 분비한다. 이자의 소화효소(아밀레이스, 라이페이스, 트립시노젠 등)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를 촉진하며, 쓸개가 쓸개즙을 분비하도록 촉진한다. 마찬가지로 과하게 분비되면 위로 가서 위를 억제
    – PYY : 소장이 분비하며, 뇌에 작용해 식욕을 억제
  • 신장
    – 레닌(효소) : 신장의 곁사구체기구에 분포한 과립세포에서 분비하여, 간이 분비한 안지오텐시노젠을 활성화시켜 혈압 상승에 기여
    – 아데노신 : 신장의 치밀반세포가 분비하여 수입소동맥을 수축시키고 과립세포를 억제하여 혈압조절에 관여
  • 태반
    – 고나도트로핀: 인간 융모성 생식샘 자극 호르몬
    –  hCG: 인간 융모성 생식샘 자극 호르몬으로 초기에 배란을 유도하고 임신 후엔 난소에서 황체의 활동을 연장시켜 반대로 배란을 중단
    – hPL: 인간 태반성 락토겐으로 젖샘을 자극해 모유를 만들게 한다.
    – 에스트로젠: 자궁 내막의 생장을 촉진. 여성의 2차 성징을 발달 및 유지
    – 프로게스테론: 자궁 내막의 생장을 촉진
  • 기타
    – 렙틴 : 지방조직이 분비하는 호르몬. 지질함량이 높아질수록 많이 분비하며, 뇌에 작용해 식욕을 억제

출처
– 문석기, 문나람(2022), 운동 호르몬 생리학, 쇼크북스
–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 위키백과